[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최근 EU의 중심국가인 독일이 국가 수소전략을 합의하고 발표함으로써 글로벌 수소경제에 청신호가 켜졌다. 다른 EU 국가들도 독일과 같은 적극적인 수소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미 일본이 수소전략을 발표하고, 꾸준히 수소정책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수소 굴기를 선언하고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에 열을 올리고 있다. 호주도 국가 수소 전략을 마련하고 수소 수출국이라는 꿈을 실현하기 위해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시간이 갈수록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수소에너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수소경제를 추진하는 국가들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제는 수소경제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된 셈이다. 

국내에서도 수소충전소, 수소생산기지, 수소 시범도시 등의 수소 인프라 구축과 시범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체계적인 수소경제 이행을 위한 ‘수소경제 육성 및 수소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수소법)도 제정돼 하위법령 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범정부 컨트롤타워인 수소경제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가 출범하고, 수소전담기관(진흥·유통·안전)도 지정됐다. 해외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그린수소 해외사업단도 발족했다. 수소경제 추진 주체들이 드디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이제 수소법에 근거한 수소기본계획까지 나오면 확실하게 수소경제로 간다는 메시지를 던져줄 수 있다. 그동안 정권이 바뀌어도 수소경제가 계속 추진될 수 있을까, 하는 시장의 우려는 많이 사그라들 것이다.

또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그린 뉴딜의 성장동력 아이템으로 ‘수소경제’를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다. 

이제 민간 부문이 확실한 메시지를 던질 때다. 정부가 확실하게 수소경제로 간다는 의지를 보여준 만큼 민간 기업들이 수소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    

수소경제 이행은 정부의 힘만으로는 힘들다. 글로벌 수소 전문가들은 민관이 협력해서 수소경제 초기 시장을 열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정부가 지원하고 민간이 앞서 수소경제를 끌고 나가야 한다. 정부의 재정투자에도 한계가 있다. 정부의 보조금만 바라볼 순 없다. 

기업들도 미래를 내다보고 수소경제에 과감하게 투자해야 할 시점이다. 그래야 수소경제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