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정부는 오는 2022년까지 수소승용차 1만 5,000대, 수소버스 1,000대, 수소충전소 310개소를 보급할 계획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무엇보다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과제로 제시된다.

그동안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의 관계에서 ‘닭이 먼저냐 알이 먼저냐’라는 논쟁이 있어 왔다. 하지만 수소전기차 ‘넥쏘’의 성공적인 출시와 함께 내년부터는 수소전기버스가 시범 운행되고, 수소전기트럭도 출시될 예정이어서 이러한 논쟁은 사실상 종지부를 찍은 것으로 보인다.

수소전기차가 선제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만큼 이제는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이 화답해야 할 때다. ‘수소충전소 설치·운영 특수목적법인(SPC)’에 거는 기대가 큰 이유다.

수소충전소 보급의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될 수소충전소 SPC가 오는 12월 중으로 설립될 예정이다. 미국에 ‘H2USA’, 일본에 ‘JHyM’, 독일에 ‘H2 Mobility’가 있다면 한국에는 가칭 ‘HyNet’이 있게 된다.

그러나 SPC 출범 초기부터 수소충전소 설치·운영 사업이 녹록하지 않다. SPC 설립위원회가 SPC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사업 초기 대규모 손실을 떠안는 구조가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전소 구축·운영비용이 높다는 점이 가장 큰 난제다. 수소유통비용도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다. 수소차 보급량이 크게 늘어나지 않으면 수소판매량 확대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SPC가 부담하는 수소유통비용을 수소전기차 소유자에게 전가하는 방안이 있지만 이렇게 되면 수소 판매가격이 급격히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오히려 수소차 보급에 장애가 될 수 있다.

온사이트 및 버스용·단독 충전소 등 다양한 방식의 충전소를 구축하는 데도 한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SPC가 수익성 확보를 위한 자구책을 마련하겠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 결국 SPC 사업 성공의 관건은 정부의 지원으로 귀결된다. 정부가 혁신성장 전략투자 대상으로 ‘수소경제’를 선정한 만큼 SPC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 보급 확대가 ‘수소경제’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수소충전소 SPC에 대한 정부의 통 큰 지원을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