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국토교통부는 공기업인 한국도로공사를 통해 전국적인 수소충전 네트워크 구성이 가능한 고속도록 휴게소에 수소충전소를 단계적으로 확충해 나갈 계획이다. 도로공사의 선도적인 투자 후 민간의 참여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도로공사는 우선 올해 중으로 경부선·호남선·영동선·당진영덕선에 각 2개소씩 총 8개소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할 예정이다.

올해 환경부가 처음으로 수소충전소 민간보조를 시행함으로써 수소충전 인프라 시장 민간참여 활성화의 첫 단추를 끼울 수 있게 됐다. 특히 수소융합얼라이언스추진단이 정부의 민간보조와 연계해 올해 수소충전 인프라 확충의 마중물 역할을 할 민간 출자회사 설립을 추진한다. 

    

국내 수소충전 인프라 시장은 초기 단계로 민간 참여 활성화를 위해선 대기업의 역할이 중요하다. 수소산업 선진국인 독일과 일본의 민간 출자회사에는 산업용가스·도시가스·정유·자동차사 등 대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도로공사 이외에도 한국가스공사, 정유사, 도시가스사, LPG사 등의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수소충전소 시장에 뛰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지금 당장 수익을 내기 힘들어도 미래 수소경제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선 지금부터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런데 환경부가 수소충전소 민간보조 대상을 중소기업으로 한정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져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에 한정해 보조금을 지원하면 중소기업을 육성할 수 있다’라는 게 정부의 생각인 것 같은데 과연 가능할까.

수소충전소 1개소를 짓는데 30억원 이상이 드는 현실에서 중소기업이 정부에서 50%를 보조받는다고 해도 나머지 15억원은 자체적으로 투자해야 하고 충전소 운영 초기 적자도 불가피하다. 이런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수소충전소 건설에 나설지 의문이다. 

공기업이든 민간기업이든 대기업이 먼저 초기 시장을 열어 시장 활성화 기반을 만들도록 해줘야 한다. 대기업 중심으로 시장 활성화 기반이 구축되면 수소전기차 구매가 늘어나면서 신규 수소충전소 수요도 생길 것이다.

이 때 중소기업이 시장에 들어가도 늦지 않다. 중소기업은 안정적인 운영기반 속에서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다. 또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에 들어가는 부품과 설비를 공급하는 중소기업을 육성할 수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