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초·중·고 시절 조회 시간이나 체육 시간에 선생님이 A 학생을 ‘기준’으로 해서 2열 종대로 모여, 라고 구령하면 A 학생을 기준으로 다른 학생들이 일제히 정렬하던 모습이 생각난다. 군대 시절에도 제식 훈련에서 ‘기준’이라는 구령에 따라 대오(隊伍)를 정렬하던 기억이 생생하다. 이때 기준이 명확히 자리를 잡지 못하면 다른 사람들이 우왕좌왕하며 제대로 정렬할 수 없게 된다.   

기준은 사전적 의미로 기본이 되는 표준을 뜻한다.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무너지게 되면 사회적으로나 산업 현장에서 혼란과 비효율성을 초래해 비용과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그래서 기술과 제품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자재나 제품의 종류, 품질, 모양, 크기 따위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통일하는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특히 국내 기술과 제품이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그 기술과 제품이 국제적 표준이 되어야 유리하다. 그렇지 않으면 해외 평가기술을 적용해 제품을 개발해야 하고, 결국 제품출시가 지연되고 후속 기술개발에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  

정부는 지난 2019년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기반으로 국제표준화 동향, 산업계 표준화 수요 등 대내외 표준화 동향을 고려해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을 수립·발표했다. 

지난 2020년 7월 발표한 ‘수소경제 표준화 제2차 로드맵’을 통해서는 국제표준 제안 목표를 2030년까지 15건에서 18건 이상으로 20% 상향 조정했다. 

수소경제를 대비해 1990년 이후 수소 활용(모빌리티·에너지), 수소공급·계량 분야 국제표준 37종 이상이 개발됐지만 일본, 미국, 독일 등이 주도해왔다. 이들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등록한 국제표준은 단 한 건(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에 불과하다.

그러나 희망의 빛이 보인다. ‘마이크로 연료전지 파워시스템’의 국제표준 등록 이후 현재까지 굴삭기용 연료전지 등 3건의 신규 국제표준 제안을 완료했고, 올해 안으로 수소차 비상시 안전요구사항 등 3건을 신규 국제표준으로 제안할 예정이다.  

글로벌 수소경제 시장은 이제 막 시작 단계이다. 그래서 지금도 늦지 않았다. 지금부터라도 국내 수소기술의 국제표준화에 적극 노력한다면 글로벌 수소기술의 표준국가가 될 수 있고, 글로벌 수소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