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주영 기자] 에너지시장은 복잡하다. 실타래처럼 얽혀있는 각각의 에너지원들이 유기적으로 조합되어 움직이는 시장이다. 특정 한 분야에서 문제가 생기면 도미노 현상처럼 다른 분야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첨예하게 대립되고 연결된 하나의 세계다.

그런 의미에서 정부의 탈원전, 신재생확대 정책은 에너지시장 전체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하다. 원전과 신재생에너지뿐만 아니라 석유를 비롯한 화석에너지와도 관련이 깊다.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겠다는 정부 방침은 세계적인 추세와도 어울리며 시대적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에너지 사용량의 대부분을 수입하는 에너지수입국인 우리나라는 화석에너지의 의존도가 높고, 태양광·풍력의 비중을 무작정 늘리기엔 환경도 적합지 않다. 의지만 가지고 실천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소리다. 국민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이 큰 석유시장의 주유소 공급과잉 문제를 해결하지 않은 채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시대의 개막을 예고하고 있는 것만 봐도 그렇다.

신재생에너지와 화석에너지의 안정적인 전환과 자연스런 시장의 변화가 관건인 가운데 ‘수소’가 대안이라는 주장은 꽤 설득력이 있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수소-ESS로 보완하고, 공급과잉인 주유소시장을 융복합 수소충전소로 전환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첨예하게 얽힌 에너지시장이 각자의 목소리를 높이는 상황에서, 이를 일부라도 해결할 수 있는 묘책이 절실해 보인다. 이런 측면에서 수소가 에너지시장의 균형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건 너무 성급한 생각인걸까.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