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한국가스안전공사 수소안전기술원이 수소충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전국의 수소충전소에서 이상신호가 발생하면 실시간으로 지도 위에 정보가 뜨면서 현장의 안전관리자에게 비상문자가 발송된다.

LPG, CNG 충전소와 함께 운영하는 복합 수소충전소의 경우 안전관리자가 충전을 위해 자리를 비울 수 있다. 이중 모니터링을 통한 교차 확인으로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가스안전공사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각 설비별, 시공사별, 제조사별, 운영기관별 이상신호 발생 통계를 취합하게 된다. 특정 회사의 압축기나 고압탱크, 충전기에 비슷한 문제가 자주 발생할 경우 합동점검에 나서 문제점을 찾아내고 개선점을 요구할 수 있게 됐다. 

현장을 둘러보고 나자 문득 2019년 5월에 일어난 강릉 수소탱크 폭발사고가 떠올랐다. 사고와 사건은 분명히 다르다. 하지만 욕심과 자만, 부주의에 따른 ‘사고’로만 볼 수 없는 측면이 있다. 

설계에 꼭 반영되어 현장에 설치되어야 할 정전기 제거설비가 빠져 있었다. 출력범위 이하의 전력으로 수전해시스템이 운영되면서 버퍼탱크 내 산소 농도가 높아졌고, 여기에 내부 정전기 불꽃이 점화되면서 폭발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또 비용 문제로 산소제거기, 산소측정기 같은 안전설비 설치를 건너뛴 것도 큰 문제로 지적된다. 

“크게 염려가 되는 건 저가 입찰입니다. 정말로 이 시스템을 다시 들여다봐야 해요. 전통 산업의 저가 경쟁 입찰을 수소사업에 그대로 적용하면 안전에 큰 구멍이 날 수 있어요. 원칙을 저버린 가격 경쟁은 부메랑이 되어 되돌아오죠.”

액화수소용 진공단열밸브를 제작하는 수림테크 이덕재 대표의 말이다. 2023년에는 액화수소가 시장에 유통된다. 액화수소는 정점에 있는 기술이다. 설비 부품의 가격이 비싸지만 꼭 그 부품을 써야 하는 이유가 있다.  

터무니없는 입찰가로 높은 점수를 받아 납품에 들어간 제품이 제 구실을 할 리 만무하다. 

어떤 ‘사건’은 시스템을 핑계로 ‘사고’로 간주된다. 그 편이 책임 소지를 따지기가 더 편하기 때문이다. 시스템은 굳건하다. 작은 사고로는 잘 바뀌지 않는다. 이참에 그 시스템을 한번 들여다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