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수소경제 흐름이 견고합니다. 포스코, SK 등 대기업 투자계획이 속속 발표되고 있습니다. 정유사를 비롯한 기존 에너지업계만이 아닌 자동차부품, 자원개발 등 타 산업군에서조차 수소시장 진입 소식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보고 있자니 과거 몇몇 장면이 떠올라 감회가 새롭습니다. 지금도 종종 논쟁거리가 되고 있지만, 불과 4~5년 전 전기차(배터리)와 수소차(연료전지)의 경쟁우위를 놓고 논란이 컸습니다. 굳이 충전방식이 다른 차량과 비교할 필요도 없겠습니다. 수소차 시장만 놓고서도 차량보급과 수소충전인프라 구축 간 무엇이 우선인지가 ‘닭과 달걀’에 비유되며 뜨거웠습니다. 

이러한 논쟁의 핵심은 ‘수소경제’에 대한 신뢰에 기인합니다. 수소가 주류 에너지로서 기능하는 수소사회가 올 것인지도 의심스럽지만 설령 맞이한다손 치더라도 그 시기를 가늠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당시 논란은 가야 할 목표에 대한 확신이 없으니 부분에 집착하게 된 결과입니다. 

최근 이러한 모습은 수그러들었습니다. 오히려 ‘수소경제’에 올라 탈 시기를 놓칠까 안달하는 지경입니다. 언급된 당시와 비교하면 격세지감(隔世之感)을 넘어서는 놀라운 변화가 아닐 수 없습니다.   

요인은 다양하겠지만 시장을 향한 꾸준한 ‘시그널(Signal)’이 가장 큰 이유일 것입니다. 

산업부 주도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가 큰 역할을 합니다. 2040년까지 수소산업 생태계별 추진 목표와 전략을 제시하고 비전을 그려냈기 때문입니다. 수소경제위원회 출범도 한몫합니다. 목표 제시에 이은 범부처의 실행을 이끌 컨트롤타워가 꾸려짐으로써 로드맵이 잠시의 ‘이벤트’가 아님을 보여주었습니다. 

화룡점정은 역시 ‘수소법’ 제정입니다. 수소경제 확산을 위한 정책 추진을 담보하고 제도적 보완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질적인 수소경제 이행을 기대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당시 산업계는 공동성명을 통해 “법률의 제정은 국가의 강력한 의지를 대내외적으로 표명한 것으로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을 통해 대한민국 제조산업의 신성장 동력 창출과 미래산업 육성을 위한 기반이 조성될 것”이라고 환영 의사를 표한 바 있습니다. 

연속된 수소경제 확산 ‘시그널’이 시장의 의심을 지우고 관심을 이끌어 이제 참여 여부에 대한 선택에 이르게 한 것입니다. 

그럼에도 아직 부족합니다. 큰 틀이 마련된 것일 뿐 민간 즉, 기업의 셈법을 충족할 세부 정책 제시가 이어져야 합니다. 수소도시 2기 추진, 수소클러스터 지정, 수소특화단지 지정 등과 같이 예견된 정책은 속히 추진되어 시장의 신뢰를 이어가야 합니다. 무엇보다 수소경제의 최종 선택지인 ‘그린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해서는 ‘청정수소발전의무화제도(CHPS)’의 세부 규정과 ‘그린수소인증제’의 구체적인 설계가 제시돼야 할 것입니다. 

수소경제 확산의 열쇠는 결국 시장이 쥐고 있습니다. 이들로 하여금 최종적으로 수소경제 참여의사를 이끌 연속된 신호를 보내야 합니다. 관심을 넘어 ‘선택’의 결정을 지어야 할 것입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