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간수소경제 정다슬 기자]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지난 26일 여수LG화학공장을 방문한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여수·광양 수소배관망 구축사업’의 예타사업 선정을 요청해 관심이 쏠린다.
여수·광양 수소배관망 구축사업은 새정부 국정과제 공약 및 에너지 정책에 따라 청정수소 공급망 구축과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과도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정부는 △광양항을 글로벌 스마트 항만으로 조성 △청정수소 기반 전주기(생산·저장·운송·활용)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입장이다.
여수·광양 수소배관망 구축 총 연장길이는 약 50km에 달한다. 향후 수소환원제철용 수소공급 등으로 약 900만톤의 수소생산(수입병행) 계획을 갖고 있는 포스코와 LNG 기반 융복합 에너지 허브사업을 추진 중인 한양, 암모니아 수입 약 600만톤을 계획한 남해화학 등이 주위에 위치해 있어 이들 기업이 공급 및 유통할 수소수소배관망을 구축하는 것이 사업의 골자다.
현재 수소는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유통된다. 수소배관망이 구축되면 수소 수요가 많은 철강·석유화학 기업 등 기타 대규모 수요처에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수소공급이 용이하다.
세계적으로 약 5,000km에 가까운 수소배관망이 구축돼 이용되고 있으며, 주로 화학 및 정제 시설에 수소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배관망을 구축하면 트레일러를 통해 유통되는 것보다 낮은 운영비용이 들지만 높은 초기 인프라 구축비용이 필요해 정부 지원은 필수적이다.
한편 김지사는 수소배관망 구축과 함께 탄소중립에 필요한 청정수소 생산을 위한 지역현안에도 정부가 관심을 갖고 추진될 수 있기를 함께 건의했다. 김지사는 △그린수소 에너지섬 조성사업 예타 선정 △여수·광양 일원에 미래첨단소재 국가산단 추가 지정 △국가가 중심이 되고 지역이 참여하는 ‘남해안 종합개발청’ 설립 등 지역 현안사항에 대해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한 총리는 “탄소중립 실현 과정에서 국내경제가 발전하는 녹색성장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며 “정부 정책과 기업의 기술혁신 노력을 긴밀히 연계하는 등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에 아낌없이 지원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져 향후 배관망구축사업의 정부예타사업 추진에 속도가 붙을 지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