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내가 그렇게 나쁩니까?”

박찬욱 감독의 영화 ‘헤어질 결심’에서 서래(탕웨이)가 해준(박해일)에게 한 말이다. 이 대사의 주어를 이렇게 바꿀 수 있다.

“CO2가 그렇게 나쁩니까?”

이는 청정건축물연료전지협의회 박달영 부회장이 기자에게 던진 질문이기도 하다. 

“연료전지의 관점에서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는 맨 마지막에 적용하는 기술이다. 그전에 자체 효율을 높이고 전기와 열의 사용을 최적화해서 에너지 이용률을 극대화하는 게 맞다. 이쪽으로 개발 방향을 잡아서 CO2 저감에 기여해야 한다.”

현재 건물용 연료전지는 도시가스를 개질한 수소를 쓴다. 수소생산이 늘어 순수소 발전이 가능해지면 개질기를 없앤 연료전지를 쓰면 된다. 

수소경제 로드맵의 무게추가 ‘활용’단에서 수소의 생산-저장-운송 등 전주기로 넘어가면서 ‘발전’ 부문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로 발전은 수소의 최대 수요처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수소 혼소가 가능한 가스터빈은 말할 것도 없고, 암모니아 혼소를 적용한 석탄발전도 여기에 든다. 모빌리티도 예외는 아니다. 연료전지가 아닌 수소엔진을 탑재한 차량이나 선박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여기에 현대중공업도 이중연료엔진 기술을 앞세워 수소발전 시장 진출에 시동을 걸었다.

글로벌 차량 제조사들은 디젤이나 가솔린 차량의 생산을 줄여가고 있다. 배기가스를 뿜어내는 내연기관과 헤어질 결심을 굳혔지만, 그 이별의 속내는 복잡하기만 하다. 

나쁜 CO2는 땅속이나 해저에 묻으면 된다. 묻으면 아무도 모른다. 어디로 새어나가도 잘 모른다. 미결의 사건처럼 캐비닛의 어둠 속에 남게 된다.

동기가 있어야 명분이 선다. 좋은 ‘수소’를 얻기 위해서는 나쁜 ‘CO2’가 있어야 한다. 이 수소가 ‘발전’을 통해 내연기관과 다시 손을 잡았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