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석대학교 과학기술대학장 이홍기 교수의 모친께서 별세하셨기에 알려드립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빈소 : 전주예수병원 302호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원로 385) ■ 발인 : 2018년 08월 19일(일) 08시 00분 ■ 장지 : 임실 호국원 ■ 연락처 : 이홍기 교수 010-4651-1444 장례식장 063-285-1009
[월간수소경제 송해영 기자] 최근 정부는 ‘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과 ‘수소차 생태계 구축을 위한 민관 투자계획’을 발표했다. <월간수소경제>는 창간 1주년을 맞이해 수소산업계 종사자 및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정부의 해당 발표 가운데 가장 기대되는 정책이 무엇인지 물어봤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응답은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반영(55%)’이었지만, 이에 못지않게 많은 응답자들이 ‘수소충전 인프라 관련 규제 개선(34%)’을 꼽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동주택으로부터 25m, 학교로부터 50~200m, 총면적 1,000㎡(약 330평) 이상이며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건물로부터 17m 내에는 수소충전소를 설치할 수 없었다. 사실상 도심에는 수소충전소 설치가 불가능하다는 ‘선고’나 다름없었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LPG, CNG 충전시설과 주유소에 수소충전 설비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했으며, 지난 6월에는 준주거·상업지역 내 수소충전소 입지제한 또한 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규제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것은 수소열차 역시 마찬가지다. 현재 우리나라 철도안전법은 철도경계선으로부터 3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월간수소경제>는 창간 1주년 특집의 일환으로 지난달 수소 관련 업계 종사자 및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문재인 정부, 수소에너지 정책방향의 길을 묻다’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 문재인 정부에 거는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가 아직 초기 단계이다보니 남은 임기 동안 수소에너지에 많은 관심과 실질적인 지원정책을 펼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사실 정부는 오래 전부터 수소에너지 정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단순하게 수소차 및 수소충전소 보급목표만 세울 뿐 수소사회 구축을 위한 큰 그림(로드맵)은 없었다. 보급목표도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무슨 일을 할 때는 큰 방향을 설정하고 그 방향에 따른 세부추진계획을 세우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정부의 수소에너지 정책에서는 확고한 큰 그림이 없으니 보급 목표와 이행계획에 일관성과 현실성이 부족하고 추진 동력마저 상실될 수밖에 없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도 가장 시급하게 추진해야 하는 정책 과제로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를 반영, 수소사회 로드맵을 마련하고 수소경제 관련 법·제도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월간수소경제] 무엇부터 꺼내야 할지 난감하다. 여기저기 얽힌 것도 많거니와 사실여부를 벗어난 시장의 ‘설’도 난무한 사안이라 더욱 그렇다. 포스코에너지의 ‘계륵’으로 전락한, 아니 이제는 ‘찬밥’으로, 이것도 아니다. 버려야 할 ‘상한 밥’ 처지에 놓인 ‘연료전지 사업’ 얘기다. ‘포스코에너지가 이래저래 결단을 않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며 이렇게 질질 끌 바에야 차라리 연료전지 간판을 내리든 조치를 해야 한다. 이미 시장과 정부로부터 신뢰를 잃었으니 이 조차 늦었는지 모르겠다’ 내용도 수위가 낮지 않지만 포스코에너지 내부에서 나온 얘기라 더욱 기막히다. 이 얘기를 굳이 해석해 보자면 두 가지가 가능하다. 먼저 표현된 그대로 받아들여 ‘시장도 정부도 포스코에너지에 대한 신뢰가 깨져 버렸다. 사업을 청산하든, 타 사업자에 넘기든, 사업을 재개하든 무엇이라도 해라’ 라고 해석된다. 자포자기 심정이다. 또 하나의 해석은 오히려 연료전지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다. 이 같은 해석을 위해서는 앞뒤 전후 맥락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포스코에너지 연료전지사업은 그룹에서 신사업으로 결정돼 이미 수천억 원에 달하는 대규모 재원이 투입됐고 정부 신재생에너지 정책(RPS)에 연
어떤 산업 분야건 간에 빠른 추격 속도를 보이며 세계 각국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중국. 수소산업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다. 지난달 25일부터 사흘간 중국 베이징에서는 수소·연료전지 전문 전시회 ‘CHFCA 2018’이 개최되었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이한 이번 전시회에는 전 세계 60여 개 기업이 참가해 각자의 제품 및 기술을 선보였다. 중국은 지난 2016년 수소에너지를 산업 변화를 위한 혁신적인 기술로 명시하고, 수소전기차 보급 확산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해당 로드맵에 따르면 중국은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5,000대, 수소충전소 100기 이상을 보급할 계획이다. 또한 2030년에는 수소전기차 100만 대 시대를 열 것이라고 공표했다. 최근 중국 수소산업의 동향은 크게 ‘대형·상용차의 수소화’와 ‘수소전기차 및 수소충전소 부품 개발’로 나눌 수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그중에서도 ‘부품 개발’에 대한 중국의 추격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OMA(中材国际), CTC(科泰克) 등이 350bar 수소압력용기를 선보였으며, 상해홍준(上海弘竣)은 연료전지 플레이트를 출품했다. 이외에도 연료전지 시험 장비, 수전해 장치 등이 참관객들의 이목을 잡아끌었다.…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취재팀장(부장)의 어머니(故 정금순, 향년 69세)께서 별세하셨기에 알려드립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별세 : 2018년 7월 14일 ■ 빈소 : 효사랑장례문화원 특4호실(전북 전주시 완산구 용머리로 77) ■ 발인 : 2018년 7월 16일(월) 09시30분 ■ 연락처 : 이종수 팀장 010-3343-7492 장례식장 063-250-4444
6월 8일부터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된 2018 부산국제모터쇼. 국내외 19개 브랜드에서 총 203대의 차량을 선보이며 62만 명의 참관객을 불러 모았다. 이번 모터쇼에서는 ‘친환경’을 강조한 차를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었다. 실제 총 45대의 친환경 차량이 전시됐다는 소식이다. 이는 지난 전시회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대부분 친환경차는 ‘전기차’가 주류를 이뤘다. 국내는 물론 해외 완성차업체들까지 ‘친환경’과 ‘디자인’을 내세우며 전기차를 선보였다. 이러한 틈바구니에 수소전기차 ‘넥쏘(NEXO)’가 시선을 끈다. 현대차는 이번 모터쇼에 넥쏘와 수소버스, 수소전기하우스를 전면에 내세워 수소전기차 홍보에 전력하는 모습이다. 실제 현대차는 모델 대신 전문 지식을 갖춘 직원들을 배치해 관람객에게 수소전기차 원리와 차량 성능을 적극 알리고 있었다. 현대차와 함께 수소전기차 시장을 이끌고 있는 도요타는 양산 중인 미라이(MIRAI) 대신 수소전기 콘셉트 카인 ‘FCV PLUS’를 선보였고 최근 현대차와 손 잡고 수소전기차 양산 모델 개발에 나서기로 한 아우디는 역시 수소전기 컨셉트 카 ‘h-트론 콰트로(h-tron quattro)’를 출품했다
[월간수소경제 송해영 기자] 지난 6월 8일부터 17일까지 부산 벡스코(BEXCO)에서 개최된 ‘2018 부산국제모터쇼’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자동차 기술을 모두 만나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관심을 모았다. 이 중 ‘미래’를 담당한 것이 전기·수소차 등의 친환경차였다면, ‘과거’는 메르세데스 벤츠의 부스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현재 양산 중인 모델과 콘셉트 카 이외에도 10대의 클래식 카를 전시했다. 1886년 세계 최초로 ‘자동차’라는 명칭으로 특허를 획득한 ‘페이턴트 모터카’는 최고 속력이 16km/h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던 것이 1926년 출시된 '24/100/140HP'부터 100km/h 이상의 속력을 낼 수 있게 되었다. 이외에도 부스에는 세계 최초로 직분사 방식의 직렬 6기통 엔진을 장착한 300SL 등이 전시되어 있었다. 100km/h 이상의 속력과 긴 주행 거리 등은 지금 관점에서는 너무도 당연하게 느껴지는 기술이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는 적잖은 충격을 안겨줬을 것이다. ‘수소에너지’ 역시 마찬가지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수소에너지의 목표는 ‘실용화’였다. 그러던 것이 지금은 수소전기차가 도로를 누비고, 도심…
[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올해 하반기가 시작됐다. 올 상반기를 뒤돌아보면 수소에너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역동적인 시기를 보낸 것 같다. 수소에너지는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 차세대 수소전기차 시범투입에 이은 수소차 넥쏘 출시와 인기몰이, 수소차 구매보조금 추가 확보, 수소경제법안 발의, 수소충전소 설치·운영 특수목적법인 설립을 위한 협약 체결, 수소충전소 민간자본보조사업자 첫 선정 등 많은 이슈들을 쏟아냈다. 지난 2월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중 투입된 수소전기차를 통해 수소에너지의 가능성을 확인했고, 지난 3월 출시된 수소전기차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으로 이어졌다. 수소차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의 육성과 일자리 창출효과까지 더해지면서 수소차는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혁신성장 선도사업에도 포함됐다. 지난달 정부가 발표한 ‘수소차 보급 확산 정책방향’과 ‘수소차 산업생태계 구축을 위한 민·관 투자 계획’은 이러한 수소에너지의 활약상과 국민적 관심을 정부가 인정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정부가 올해 말 수립 예정인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관련 내용 반영을 추진키로 한 점은 획기적인 일이다. 수소에너지를 국가 에너지로 선정한다는 의미가 있기 때
[월간수소경제] 2018년이 시작되면서 ‘수소산업’에 거는 기대가 컸다. 수소산업의 전환기로서 매우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봤다. 단순히 바람만을 담은 기대가 아니었다. 시장 움직임과 정책 변화 등이 감지됐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기대는 현실로 바뀌는 분위기다. 수소사회로 가는 보폭이 넓어지면서 걸음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지난 달 정부는 ‘수소전기차’를 위시해 수소산업 확산을 위한 의미 있는 정책을 발표했다. 수소전기차 보급으로 자동차 산업 재도약을 추진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내용이다. 특정 부처가 아닌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돼 정부의 각별한 의지를 내비쳤다. 곧 이어 주무부처인 산업부도 발 빠르게 움직였다. 지난 달 25일 산업부는 수소전기차 산업생태계를 구축키로 하고 오는 2022년까지 민관합동으로 총 2조 6,000억 원 가량을 투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물론 이 같은 정부안에 부정적 여론이 없는 것은 아니다. 혹자는 ‘앙코 없는 찐빵’으로 비유하며 평가절하한다. 혹자는 민간이 부담할 몫에 ‘관’이 숟가락만 올린 채 시쳇말로 ‘묻어가려’ 한다며 의미를 깎아 내린다. 당장 투입되는 재원과 역할만을 놓고 보면 일견 틀린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