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2050년 탄소중립을 위한 움직임이 분주하다. 2019년 유럽에서 가장 먼저 탄소중립을 선언했고 탄소배출국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중국에서도 탄소중립 의지를 밝혔다. 단 2060년까지로 시기의 차이는 뒀다.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이 1990년에 비해 2배가량 증가한 우리나라 역시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했다. 지난해 말 ‘탄소중립 2050’을 선언하고 달성 전략과 실행방안을 구체화했다.  

정부는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3+1 전략’과 ‘5대 기본방향’을 내세웠다. 이들 내용을 좀 더 들여다보면 그 핵심에 ‘수소에너지’가 자리한다. 재생에너지에서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연료전지는 다시 전기와 열을 공급해 친환경 에너지의 선순환 구조를 이뤄낸다. 수소모빌리티는 친환경 미래차로서 수송분야 탄소저감을 위한 핵심 역할이 부여됐다. 결국 탄소중심의 경제구조를 허물고 수소경제로 전환하는 계획이 탄소중립 실현의 주요 실행안으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수소에너지의 역할은 이들 계획에서만 확인되는 것은 아니다. 에너지 흐름의 변천을 살펴봐도 알 수 있다. 인류는 생활 속 에너지를 얻기 위해 고체(석탄) 형태의 자원에서 시작해 액체(석유), 기체(가스)로 전환해오고 있다. 이들을 수소 대비 탄소비율로 살펴보면 나무(10), 석탄(2), 석유(0.5), 천연가스(0.25) 비율임을 알 수 있다. 즉 주력에너지 흐름이 꾸준히 저탄소를 향하고 있으며 최종 종착점은 ‘수소’로 귀결된다. 기체이면서도 탄소가 없는 청정에너지가 수소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대에도 향후 수소경제로의 전환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다. 수소 활용을 위한 기술 다양성은 부족하고 제품 상용화의 현실은 여전히 아쉽다.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시민수용성 역시 걱정되는 지점이다. 어디 이뿐이겠는가. 곳곳에 놓인 암초는 수소경제 항해를 어렵게 할 것이 자명하다.   

이럴수록 수소경제의 고삐를 바짝 당겨야 한다. 에너지전환의 중심이자 탄소중립의 핵심으로서 제 역할을 해내야 한다. 수소에너지가 짊어진 또 다른 책임이기에 말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