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UNIST 성아림 연구원, 김건태 교수, 주상욱 연구원.(사진=UNIST)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온실가스인 메탄(CH4)과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수소(H2)로 바꿔주는 새로운 나노 촉매가 개발됐다. 

이 촉매는 기존의 전극 촉매보다 메탄-수소 변환효율이 2배 이상 뛰어나 다양한 에너지 변환 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화학공학과 김건태 교수팀은 온실가스인 메탄과 이산화탄소로 수소와 일산화탄소(CO)를 만드는 반응(메탄 건식 개질 반응)에 쓰이는 촉매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을 찾아냈다. 

메탄 건식 개질 반응에는 니켈(Ni) 금속 복합체 촉매가 주로 쓰인다. 하지만 이 촉매는 오래 쓸 경우 성능이 떨어지고 수명도 짧아진다. 고온에서 촉매끼리 뭉치거나 반응이 반복되면 촉매 표면에 탄소가 쌓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촉매 역할을 하는 핵심물질인 니켈이 표면으로 더 잘 올라오게 하는 방법을 고안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철(Fe)을 복합체 촉매 표면에 얇게 입힌 것이 핵심이다. 

▲ 극대화된 이온 위치 교환 현상 모식도.(사진=UNIST)

니켈은 복합체(이번 실험에서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갖는 복합체 촉매를 사용) 밖으로 나가려는 성질이 강하고 철은 안으로 들어가려는 성질이 강해 두 물질이 자리를 바꾸게 되는 원리다. 

새롭게 올라온 니켈 때문에 입자 간 뭉침이나 표면에 탄소가 쌓이는 현상이 억제된다. 또 밖으로 나온 니켈이 철과 결합해 반응성이 더 좋아진다. 

▲ 이온 위치 교환 현상의 이론적 분석.(사진=UNIST)

제1저자인 주상욱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균일하고 미세한 철 박막을 입힐 수 있는 기술인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용해 ‘자리교체 용출 현상’을 촉진시켰다”고 설명했다.

공동 제1저자인 성아림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철 박막을 20회 반복해서 입혔을 때 촉매 단위 면적당 약 400개가 넘는 나노 입자(철-니켈 합금)가 생겼고, 이 입자들은 니켈과 철로 이뤄져 촉매 반응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나노 촉매를 사용한 메탄 변환 성능은 700℃에서 70% 이상의 높은 변환효율을 보였고, 안정성에서도 400시간 이상을 유지한 결과를 보였다. 이는 기존 전극 촉매보다 변환 효율이 2배 이상 뛰어난 것이다. 

이번 연구는 한정우 포항공대 교수, 美 펜실베니아대 존 보스(John M. Vohs) 교수, 펜실베니아대 레이몬드 고티(Raymond J. Gorte) 교수도 함께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의 자매지인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8월 26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