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공동교신저자인 마흐무드 연구교수, 제1저자인 김정원 연구원, 교신저자인 김건태 교수.(사진=UNIST)

[월간수소경제 성재경 기자]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없애는 동시에 ‘전기’와 ‘수소’를 생산하는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Aqueous Zn-CO2 system)’의 성능을 높여줄 촉매가 개발되면서 울산과학기술원(UNIST) 김건태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 의 상용화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UNIST(총장 이용훈)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의 김건태·백종범 교수팀은 루테늄 금속과 탄소를 포함한 복합체 촉매를 개발했다. 이 촉매를 이산화탄소를 활용해 전기와 수소를 생산하는 ‘수계금속(아연) 이산화탄소 시스템’에 적용하면 수소를 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는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는 ‘탄산 환경’에서도 잘 작동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재료를 이용해 간단한 공정으로 합성이 가능해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다.

▲ 루테늄 및 탄소 지지체 촉매 합성 모식도: 단순한 공정을 통해 수소 발생 촉매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다공성 탄소지지체에 카르복실 작용기(COOH)를 도입하면, 작용기가 루테늄 입자(이온)가 지지체에 더 잘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작용기는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제거한다.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은 물에 녹아 있는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이용해 수소와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김건태 교수 연구팀은 바닷물에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는 현상에 착안해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이산화탄소(CO2)가 물(H2)에 녹아 생기는 수소이온(양성자, H+)이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환원돼 수소가 만들어진다. 

이때 전기화학 반응에 필요한 에너지 장벽을 낮추기 위해 촉매를 사용하는데, 기존의 금속-이산화탄소 시스템에는 백금(Pt) 등의 귀금속 계열 촉매가 활용됐다. 

고가의 귀금속 계열 촉매의 대안으로 다양한 금속산화물 및 탄소 촉매들이 제시됐으나, 이 촉매들은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환경에서 수소 발생 활성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건태·백종범 교수 공동 연구팀은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전해질에서도 잘 작동하는 금속 유기물 복합 촉매를 만들었다. 

‘루테늄 금속(Ru)’과 ‘다공성 탄소지지체(PSC)’가 결합된 ‘루테늄 탄소복합촉매(CF-Ru@PSC)’는 이산화탄소가 포화된 전해질에서도 백금 촉매만큼 우수한 수소 발생 반응 활성도를 보였고, 1,000시간의 구동에도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다. 

이는 탄소지지체에 붙은 카르복실(COOH) 작용기가 루테늄을 지지체에 더 단단히 고정시키는 ‘중간매개체’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쓰임을 다한 카르복실 작용기는 가열해 쉽게 제거할 수 있다.

▲ 루테늄 및 탄소지지체 촉매의 수소 발생 활성 위치 분석: 루테늄과 탄소지지체의 강한 결합(binding energy)이 있는 곳에 수소 발생 반응 활성도가 뛰어난 것을 확인했다.

▲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 장기 구동 성능 및 이산화탄소 변환: 상용 백금 계열 촉매보다 뛰어난 전기화학 성능 및 안정성을 보인다(그래프가 일직선으로 유지). 장기 구동 결과 이산화탄소가 탄산염으로 최종 포집된 형태를 확인했다.

제1저자인 김정원 UNIST 에너지공학과 석‧박사통합과정 연구원은 “카르복실기가 사라지고 나면 루테늄 금속과 탄소지지체의 강한 결합이 일어나는데, 여기서 추가적인 촉매 반응이 일어나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전해질에서도 수소 발생 반응 활성도가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는 제조 공정이 간단해 대량생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루테늄 금속과 탄소 원료를 사용해 가격이 기존 백금 촉매의 1/10 수준으로 저렴하다. 

김건태 교수는 “수계금속 이산화탄소 시스템에 백금 대신 값싼 재료로 만든 고효율 촉매를 적용하게 되면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며 “이번 연구는 차세대 전극 신소재 개발과 안정성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단서를제공한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UNIST 자비드 마흐무드 연구교수와 POSTECH의 한정우 교수가 각각 공동교신저자, 공동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에 5월 29일자로 온라인 공개됐으며,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어 출판을 앞두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