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국내 기업들이 오랜 기간 동안 개발하고 상업화를 준비해온 차세대 연료전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가 드디어 빛을 보게 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정부가 SOFC의 시장 진입을 위해 내년 1월 발효를 목표로 SOFC KS 표준 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KS 표준이 제정되면 신재생에너지설비 KS 인증을 받은 SOFC 제품은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에 참여할 수 있어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지자체도 발 벗고 나섰다. 서울시는 중·대형 건물에 SOFC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기준안을 마련해 올 하반기 중 고시할 예정이다.   

해외 SOFC 기업들도 한국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어 국내 SOFC 시장이 자칫 해외 기업에 잠식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부도 해외 SOFC 제품의 국내 진출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정부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수소 관련 부품·제품의 국산화율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단적인 예로 정부는 올해부터 오는 2023년까지 국비 180억 원을 투입해 150kW급 이상의 분산발전용으로 확장이 가능한 고효율 모듈형 SOFC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번 과제는 국내 시장에 진출한 미국 블룸에너지의 대항마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우리나라 연료전지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평가되지만 사실 발전용의 경우 해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발전용 연료전지 국산화율은 현재 57% 정도다. 아직도 주요 핵심부품은 수입에 의존하는 형편이다.  

STX중공업, 미코 등의 기업들은 가정·건물용 SOFC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개발했다. 미코의 경우 소재부터 스택, 시스템까지 국산화율이 90%에 이른다. 국내 기업이 개발한 SOFC의 완성도가 100%라고 단언하기는 아직은 힘들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자체적으로 개발한 기술이기에 SOFC 분야 만큼은 우리나라가 경쟁력을 발휘해 SOFC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잡아야 한다. 

국내 SOFC 기술이 해외 기술과 당당히 어깨를 나란히 하며 경쟁할 수 있도록 국산 기술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