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지난 4월 29일 ‘수소사업 추진 로드맵’을 발표했다. 국가 전체 수소 수요의 60% 이상 공급하겠다는 것이 가스공사의 목표다. 2040년까지 모빌리티 분야 수소 수요량의 100%, 에너지 분야에서는 연료전지 및 혼소 발전 수요의 약 60%를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가스공사의 수소사업 로드맵 발표 이후 관련 업계 일각에선 “가스공사가 수소시장을 독점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우선 국내 천연가스(LNG) 산업 구조를 들여다보자. 가스공사는 해외에서 천연가스를 수입해 국내 발전사 및 도시가스사에 공급하는 도매사업자다. 도매부문에서 자가용으로 LNG를 직수입하는 민간기업이 있긴 하지만 사실상 천연가스 도매사업자는 가스공사뿐이다. 도시가스 분야에서는 전국 33개 도시가스사업자가 지역별로 독점 공급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가스공사의 로드맵을 놓고 수소시장도 가스공사가 독점하는 게 아니냐는 생각에 빠져들게 했는지 모른다. 실제 가스공사는 모빌리티 분야에서 수소공급 목표를 100%로 설정했다. 이는 수소경제 초기에는 천연가스 추출수소로 갈 수밖에 없다는 당위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에는 초기에는 부생수소와 천연가스 추출수소를 병행 공급하는 것으로 돼 있다. 2030년, 2040년에는 부생수소 비중이 줄어들지만 부생수소와 수전해 수소를 병행 공급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가스공사가 너무 욕심을 부린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가스공사가 수소시장을 모두 독점한다는 견해에 찬성하지는 않는다. 가스공사가 수소생산·유통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면 이러한 밸류체인에서 관련 설비, 토목·건축 등 산업생태계가 만들어져 먹거리와 일자리가 생기게 마련이다.

수소경제 초기에는 인프라 구축에 많은 비용이 수반된다. 아직은 민간 대기업이 수소산업에 적극 뛰어들지 않고 있다. 공기업인 가스공사가 수소사업에 나설 수밖에 없는 환경이 만들어진 셈이다.

가스공사는 독점화 우려에 대해 수소 인프라는 최대한 민간과 협력해서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런 약속은 꼭 지켜져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