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술표준원은 8일 ‘수소경제 표준화 추진방안 업계공청회’를 개최해 수소 및 연료전지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모았다.

[월간수소경제 송해영 기자] 지난해 12월 발족한 ‘수소경제 표준포럼’이 ‘수소경제 표준화 로드맵(안)’ 발표에 앞서 수소 및 연료전지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를 가졌다. 국가기술표준원과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는 8일 14시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수소경제 표준화 추진방안 업계공청회’를 개최했다.

수소경제 표준포럼은 지난 1월 발표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부응하고 우리나라 수소 및 연료전지 기술의 글로벌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화 로드맵을 수립 및 발표할 계획이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표준화 로드맵의 주요 내용이 간략하게 발표되었다. 표준화 로드맵은 2022년까지 건설기계용 연료전지 등 5건, 2030년까지 충전소용 수전해 발생기 등 1건 이상을 제안해 최종적으로 ‘2030년까지 국제표준안 15건 이상(전체의 20%)’을 제안한다는 목표다.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추진 과제나 지원 방안 등도 담길 예정이다.

이날 이경희 국가기술표준원 연구관은 ‘로드맵 추진 배경 및 이행 지원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이 연구관은 “우리가 가진 선도기술을 기반으로 국제표준이 확정될 경우 주도적인 시장 창출이 가능하며 수소 및 연료전지 관련 제품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고 국제표준화 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수소 기술 15종, 연료전지 기술 19종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돼 운용 중이다. 하지만 이 중 우리나라에서 제안한 표준은 전무하다. 다만 2014년 제안한 ‘마이크로 연료전지의 일반사항’이 2019년 6월 최종 발간될 예정이다.

이 연구관에 따르면 국가기술표준원은 표준화 기반 조성을 위해 ‘개발→제안→등록’으로 이어지는 전주기 지원 체계를 확립하고, 업계와 학계‧연구계를 연결하는 표준 매치업 제도를 운영함으로써 중소‧중견기업의 표준화 활동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지원을 펼칠 계획이다. 한편으로는 수소산업 안전성 지원센터 등 유관기관과 협력하고 다자간 국제표준 협력 활동을 강화하는 등 외부와의 연계를 통해 표준화 활동의 활로를 뚫는다.

▲ 강승규 가스안전공사 책임연구원.

표준 로드맵 중 수소 인프라 분야를 도맡은 강승규 가스안전공사 책임연구원은 ‘수소분야 표준 동향 및 제안 추진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강 책임연구원에 따르면 자유무역협정이 확산되면서 세계 각국은 자국에 유리한 기술 표준을 국제표준화하여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활용하고 있다. 즉 우리 기업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제표준 제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강 책임연구원은 “수소분야 중에서도 컴프레서, 피팅 등의 항목은 현재 초기 단계 작업 중에 있다”며 “우리나라에서 적극적으로 국제표준 활동을 펼친다면 우리 기술이 반영될 여지가 얼마든지 남아있다”고 밝혔다.

현재 수소경제 표준포럼의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홍기 우석대학교 교수는 ‘연료전지분야 표준 동향 및 제안 추진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 이홍기 우석대학교 교수.

국제전기표준회의 연료전지분야 기술위원회(IEC/TC105)의 전문가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는 연구소와 대학을 합한 비율이 56%에 달해 다른 나라들에 비해 기업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기업들도 R&D 초기 단계부터 국제표준화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규제 샌드박스 1호로 ‘도심 수소충전소’가 결정된 것과 관련해서도 “취지는 좋지만 어디까지나 임시적인 허가이니만큼 또 다른 대책을 고심할 필요가 있다”며 “수소충전소 관련 기술을 국제표준으로 등록하고 이를 부합화하면 KS 인증 규격에 보다 쉽게 반영할 수 있다”는 방안을 내놓았다.

뒤이어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에서는 연료전지, 화학, 수전해 등 다양한 분야 기업 관계자들이 표준화 관련 건의사항을 제시했다. 수소경제 표준포럼은 이번 공청회 이후로도 꾸준히 온‧오프라인 창구를 통해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오는 3월 말 ‘수소경제 표준화 로드맵(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