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송해영 기자] 지난 1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발표되었다. 로드맵은 수소전기차 보급 목표 외에도 수소생산기지 구축을 통한 수소 수요 증가 대비, 그린 수소로의 수소 생산 패러다임 전환, 수소 시범도시 조성, 국제표준화 활동 등 수소에너지 생태계 전반을 망라하고 있다.

그중 ‘수소 생산’ 단락에서 ‘2030년부터 해외 생산 수소를 활용’한다는 대목이 눈에 띈다. 현재 이용 가능한 부생수소는 약 5만 톤으로, 수소전기차 25만 대를 움직일 수 있는 양이다. 당장은 문제가 없지만 2040년 수소전기차 생산 목표치가 620만 대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수소 수요 급증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 로드맵에는 해외의 미활용 재생에너지 및 화석연료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한 다음 액화수소 등의 형태로 수입하는 방안이 언급되어 있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가와사키중공업 등 4개사가 발족한 ‘CO₂ 프리 수소 서플라이 체인 추진 기구(HySTRA)’를 중심으로 호주에서의 수소 수입을 추진 중이다. 호주 라트롭 밸리에 매장된 대량의 갈탄에서 수소를 개질해 이를 액화시킨 다음, 선박을 이용해 일본 고베 시에 위치한 액화수소 수입기지로 이송하는 것이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생산된 수소는 분명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어디까지나 일본 영토 내에서는. 다소 과격하게 말하자면 일본은 자국에서 발생할 이산화탄소를 호주에 떠넘긴다고도 볼 수 있다. 물론 HySTRA는 갈탄 개질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이용해 처리할 계획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중 일부는 호주 보조사업 지원금으로 충당한다. 이에 따라 호주 내에서도 갈탄을 이용한 수소 생산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비효율적이라는 목소리가 고개를 디밀고 있다.

그린 수소 생산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은 피할 수 없는 흐름임에 분명하며, 지금부터 준비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다른 국가들이 가는 길을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다. 후발주자에게는 시간이 주어진다.

그린 수소 생산에 있어 ‘맞춤형’ 전략을 고민할 때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