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이종수 기자] 이미 예상했었다. 수소경제에 대한 본격적인 공격이 시작될 것이라고.

정부는 지난해 혁신성장 전략투자 대상으로 수소경제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 1월 울산에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울산을 방문해 수소경제 사회 구현을 천명함으로써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보여줬다.

이후 수소 관련 기술개발에 대한 국책 연구과제가 공고되고, 규제 샌드박스 1호로 도심 수소충전소 설치를 승인하는 등 수소경제와 관련한 굵직한 이슈와 뉴스가 연일 쏟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언론 등을 통해 세계는 배터리 전기차로 가고 있는데 한국만 홀로 수소전기차에 올인한다는 지적과 함께 성공 가능성 없는 수소경제에 무모한 투자를 한다는 부정적인 시각이 쏟아지고 있다.

로드맵 발표 이전에도 그랬지만 수소경제에 대한 비판의 강도가 심해진 느낌이다. 앞으로도 더욱 그러할 것이다. 그만큼 수소경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한편 석유산업 등 기존 산업이 미래를 걱정한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새로운 시장이 열릴 때는 많은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견해들이 나오기 마련이다.

수소경제에 대한 부정론이 나온다고 해서 수소산업계가 움츠릴 필요가 없다.

기존 산업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수소경제는 지금 당장 물밀 듯이 오는 성격의 산업도 아니다. 장기계획과 흔들림 없이 수소경제를 추진하는 정책 기조, 그리고 전방위적인 기술개발과 투자가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가능한 신산업이다.

무엇보다 수소에너지는 기존 산업과의 융복합과 상호보완 기술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에너지다. 예를 들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증가할수록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 등을 수소가 보완할 수 있다. 천연가스 개질을 통한 수소생산은 천연가스와 수소가 상생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효율성과 경제성 문제 등이 수반되겠지만 충분한 기술개발을 통해 극복이 가능하다. 

정유사, LPG공급사, 도시가스사 등의 에너지기업들이 수소 분야에서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수소경제와 기존 산업의 밥그릇 싸움으로 변질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