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지난달 30일 문재인 대통령이 전북 군산 새만금을 찾았다. 그리고 현 정부 에너지정책 기조인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획기적인 내용을 발표했다. 오랜 기간 사업방향을 찾지 못한 새만금을 국내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성장시킨다는 것이 골자다. 이른바 ‘대한민국 재생에너지 비전’을 선포한 것.

내용을 들여다보자. 새만금 전체 면적의 약 9.4%에 해당하는 부지(38㎢)에 태양광·풍력 총 4GW 규모의 발전단지를 조성한다. 인근 해역에는 해상풍력 1GW급 단지도 함께 구축한다. 이러한 발전설비는 원자력발전소 4기와 맞먹는다.

앞서 정부는 재생에너지 3020 전략에 따라 올해부터 2030년까지 태양광·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전체 발전량의 2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약 45GW의 재생에너지 신규 발전설비를 구축한다는 방침이고 보면 새만금에만 전체 신규 발전설비의 약 10%가 들어서는 것이다. 향후 구축이 완료돼 정상적인 발전이 이뤄진다면 국내 ‘재생에너지 메카’로 불릴 만도 하다.

그러나 야당과 주요 언론의 공격도 만만찮다. 이런 저런 목소리가 많지만 요약하면 ‘단일 지역에 10조 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데 왜 신재생에너지인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주장의 당위성은 재생에너지의 발전량에 기인한다. 총 발전설비 대비 태양광의 연간이용률(발전량)은 약 15% 수준에 그친다. 결국 4GW의 발전설비를 깔아도 생산되는 전기는 0.6GW 즉 원전 1기 발전량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태양광과 풍력은 자연에너지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햇빛과 바람이 좋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의 전력생산이 다르고 계절에 따른 편차도 존재한다. 결국 태양광 15%의 연간이용률은 전력생산 편차의 평균치다. 다시 말하면 기후조건에 따라 15%를 훌쩍 넘을 수도, 모자랄 수도 있다는 얘기다. 결국 잉여전력이 발생한다는 것이고 이를 냉혹하게 표현하면 ‘생산 전기를 버린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라면 이번 새만금 재생에너지 계획에 ‘수소’를 끼워 넣으면 어떨까. 재생에너지가 친환경 전력생산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계속해 공격당하는 아킬레스건은 ‘간헐성’이다. 전력생산이 들쑥날쑥 하다는 점이다. 전력계통에 연결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전기로 수소를 생산해 저장하면 신규 에너지를 비축한 것과 같다.

저장된 수소는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필요 시 연료전지(FuelCell)의 연료로 공급하면 전력 재생산이 가능하다. 수소전기차 보급정책에 따라 주변 지역에 충전인프라인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면 안정적인 수소를 공급할 수도 있다. 물론 수소를 직접 사용하는 산업체 등 주변 소비처에 싼 값으로 줄 수도 있다. 버릴 것을 활용하니 일석삼조(一石三鳥) 이상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물론 에너지 효율을 상당 높일 수 있는 만큼 비판의 목소리까지 잠재울 수 있지 않을까.

재생에너지를 통한 수소생산은 ‘그린수소’를 대표하는 친환경 수소제조방식이다. 이를 위해서는 물을 전기분해하는 ‘수전해’기술이 필수다. 아직 국내 수전해기술이 선진국 대비 크게 뒤처져있는 상황인 만큼 새만금의 일부 시설을 ‘그린수소 생산 실증단지’로 추가 계획한다면 관련기술의 내재화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정부의 선택을 기다려 볼 일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