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2018년이 시작되면서 ‘수소산업’에 거는 기대가 컸다. 수소산업의 전환기로서 매우 중요한 해가 될 것으로 봤다.

단순히 바람만을 담은 기대가 아니었다. 시장 움직임과 정책 변화 등이 감지됐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기대는 현실로 바뀌는 분위기다. 수소사회로 가는 보폭이 넓어지면서 걸음에 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지난 달 정부는 ‘수소전기차’를 위시해 수소산업 확산을 위한 의미 있는 정책을 발표했다. 수소전기차 보급으로 자동차 산업 재도약을 추진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내용이다. 특정 부처가 아닌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돼 정부의 각별한 의지를 내비쳤다.

곧 이어 주무부처인 산업부도 발 빠르게 움직였다. 지난 달 25일 산업부는 수소전기차 산업생태계를 구축키로 하고 오는 2022년까지 민관합동으로 총 2조 6,000억 원 가량을 투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물론 이 같은 정부안에 부정적 여론이 없는 것은 아니다. 혹자는 ‘앙코 없는 찐빵’으로 비유하며 평가절하한다. 혹자는 민간이 부담할 몫에 ‘관’이 숟가락만 올린 채 시쳇말로 ‘묻어가려’ 한다며 의미를 깎아 내린다.

당장 투입되는 재원과 역할만을 놓고 보면 일견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수소전기차와 수소산업, 그리고 에너지로서의 수소를 바라보는 정부 시각이 바뀌어가고 있음을 이번 발표로 확연해졌다는 점을 주목하고 싶다.

산업부 발표의 몇몇 주요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소버스 정규노선 투입, 수소유통센터 설립, P2G(전력가스화) 실증사업 추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반영 등이다.

수소버스는 충전인프라 확대와 부품 내구성 향상, 대중화에 매우 효과적이다. 수소전기차량을 일반 시민에 보급하는 정도와 비교할 바가 아니다. 내년부터 5대 도시를 선정해 시범사업하고 2022년까지 1,000대가 도입되면 말 그대로 수소전기차 확산이라는 도화선에 불을 붙이는 것과 같다.

수소유통센터는 어떠한가. 전국 충전인프라에 공급되는 수소가격을 통제하고 안정적인 공급을 하겠다는 의미로 이는 실질적으로 수소를 국가 연료로 인정한다는 의미의 다른 표현이다. 남는 전력을 수소 또는 메탄으로 전환해 저장, 이송하는 일련의 기술이 P2G임을 감안하면 이번 실증사업 추진은 향후 수소사회를 준비하기 위한 핵심 기술을 정부가 인지했음을 보여준 결과다. 

결정적으로 정부는 ‘수소에너지’를 국가 에너지계획의 근간인 ‘에너지기본계획’에 반영키로 했다. 말 그대로 ‘수소’가 ‘국가 에너지’로서 기능하는 역할을 부여받은 셈이다.

물론 세부추진계획이 빠져 있어 일부의 아쉬움은 이해가 된다. 그러나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정부가 수소를 바라보기 시작했다는 것이고 향후 제시되는 계획은 더욱 구체적일 수밖에 없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