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수소경제 송해영 기자]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내연기관에 비해 발전 효율이 높으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

연료전지 발전 과정만 놓고 보면 그야말로 수소 ‘만만세’다. 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찜찜하다.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수소는 어디서 온 걸까.

우주 전체의 원소 질량 중 수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75%에 이른다. 하지만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인 것처럼 수소를 에너지원으로서 활용하려면 물이나 천연가스, 석탄 등에 포함된 수소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생산된 부생수소를 수집하는 방법도 있지만, 공장 내에서 모두 소비되는 탓에 ‘없어서 못 파는’ 실정이다.

수소를 생산한다고 해서 끝이 아니다. 이후에도 압축 및 저장, 운송, 공급 등의 과정이 남아있다. ‘연료전지 발전’은 수소에너지 밸류 체인 전체를 놓고 봤을 때, 수소 공급 이후에 일어나는 일부 과정인 셈이다.

하지만 수소 생산부터 공급에 이르는 과정이 너무도 길고 복잡한 탓에, 수소에너지 보급 초기 단계인 현재로서는 ‘이미 생산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투입해 전력을 발생시키는 과정’만 뚝 떼어내 설명이 이뤄지곤 한다.

해당 과정만 놓고 보면 수소는 그야말로 ‘완벽한 에너지원’이다.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데다가 석유나 석탄 등 화석연료에 의존하지 않아도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부생수소’를 제외하면, 수소는 ‘화석연료 개질’이나 ‘수전해’ 과정을 통해 생산된다. 개질에 쓰이는 천연가스는 어디서 올까. 물을 분해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즉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발전한 전력으로 물을 분해하지 않는 이상, 수소를 ‘완벽한 무배출(zero emission)’ 에너지원이라 부르는 것은 현상의 단면만을 보는 셈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수소에너지 관련 논의는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소를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둘 다 수소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진정한 수소사회 진입을 위해서는 논의의 범위를 한층 넓혀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